안녕하세요 대학요정입니다.오늘은 MBTI 성격유형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기 보고식 성격 유형 검사 도구인 MBTI 는 성격유형을 알 수 있고 또한 서로의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고 궁합도 알 수 있어서 더욱더 재미있는 그런 성격 테스트라고 알려져있습니다. 물론 사람을 몇가지 유형으로 나눈다는 점은 참 너무나 딱딱하기도 하지만 혈액형별 성격이나 이런것 또한 재미로 알려져있는만큼 좀 더 자세한 유형 테스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MBTI의 경우 16가지의 성격유형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MBTI 성격유형은 아무 의미도 없다고도 합니다. 널리 통틀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테스트이긴하지만 결국 우리는 감각 또는 직관을 사용하는것을 선호하고 생각 또는 느낌을 통해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심리학적으로는 아무 의미도 없을 뿐더러 어떻게 보면 MBTI 테스트를 하는 것보다는 점집에가서 점을 보는것이 더 재미가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실제로 한 책에서는 심리학 상식을 뒤집다 심리학자들이 알려주지않는 마음의 비밀에서는 MBTI 성격유형에 대해서 검사법은 사람들의 실제 행동 보다는 검사법 이면에 존재하는 이론에 의해서 주도되는 테스트이므로 괜찮은 과학적 측정법이라고 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MBTI 성격유형의 종류
ISTJ ISFJ INFJ INTJ
ISTP ISFP INFP INTP
ESTP ESFP ENFP ENTP
ESTJ ESFJ ENFJ ENTJ
재미있게도 MBTI 성격유형 검사에는 이렇게 어떤 경향인지 이름도 붙여져있습니다.
ISTJ 소금형
ISFJ 권력형
INFJ 예언형
INTJ 과학자형
ISTP 백과사전형
ISFP 성인군자형
INFP 잔다르크형
INTP 아이디어형
ESTP 활동가형
ESFP 사교형
ENFP 스파크형
ENTP 발명가형
ESTJ 사업가형
ESFJ 친선도모형
ENFJ 언변능숙형
ENTJ 지도자형
각각의 스펠이 의미하는 바는 이렇습니다.
E 외향형
단체생활동을 선호
생각을 표출하며 말하기를 선호
I 내향형
혼자하는 활동 선호
내면에 담고 글스는 것을 선호
S 감각형
실용적이고 현실적 숲보다 나무를봄
이미 일어난적이 있는일에 초점을맞춤
N 직관형
미래를 추구하고 이상적
두루뭉실하고 자기만의
사고방식이 있으며 나무보다 숲을봄
T 사고형
객관성과 합리성에 초점
논리적성향
일과 목표 효율성을 중시
F 감정형
감정표현에 예민, 공감적인성향
대인관계중시
사람을 중시하는경향이 있음
J 판단형
결단력, 철저하고 조직적
명확성, 예측가능성,계획중시
결과 중시
P 인식형
융퉁성, 편안함
자유롭고 즉흥적
과정을 중시
본인도 테스트를 해보니 어느정도 맞다고는 느끼지만 인간을 16개로 나눈다는 것 자체는 좀 만족스럽지 않았습니다. 어디까지나 재미로만 봐주면 좋을것 같습니다. 간소화한 MBTI 궁합차트 역시 서로에게 맞는 유형이 있다는 것인데 조금 재밌는게 실제로 저의 경우 비슷하게 맞아떨어져서 흥미로웠습니다. 빨간색의 경우에는 궁합 최악 다시 생각해보기 초록색은 아주 좋은 관계가 될 수 있음 노란색은 최악은 아니지만 좋은것도 아님 파란색은 천생연분이라니 ? 연두색은 안맞는 부분도 있지만 맞는 부분도 있습니다.
위 표는 MBTI 성격유형의 단점들입니다.
각각의 단순한 성격으로 보면 이렇고 , 좀 더 자세히 보자면 ENFJ 의 경우에는 주위에 민감하고 책임감이 강하니다. 다른사람들의 생각이나 의견을 중하게 여기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맞춰서 일을 처리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편안하고 능란하게 계획을 내놓거나 집단을 이끌어가는 능력이 있으며 사교성이 풍부하고 인기가 있고 동정심이 많습니다. 남의 칭찬이나 비판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MBTI 한국 MBTI 홈페이지에서 검색해서 볼 수 있는데 학교같은 경우에도 진학문제 취업에서도 쓰이기도 하지만 다양한 활용예시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이해관계를 위해 사회생활 회사의 조직안에서 개인이나 상호간의 하부조직간의 갈등해소나 팀의 장점 약점을 파악하고 서로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이 MBTI 를 활용하기도 한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실제로 MBTI 궁합도 그 중에 하나입니다.
그냥 재미로만 보면 좋을 것 같은 MBTI 성격유형 분포도 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인의 성격유형 분포는 ISTJ 약 5~33% ISFJ 약 15% INFJ 약 0.3~1% INTJ 약 0.8~1% 가 분포한다고 합니다. 다음 표를 보면 조금 더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MBTI의 바타이 되는 융의 심리유형론의 요점은 각각의 개인들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것을 인식으로 보고 자신이 수집한 정보에 근거해서 행동을 위한 결정을 내리는것을 판단으로 보는데요 그것이 각각의 개인들이 선호하는 방법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과 감각과 직관에 의해서 인식하게 될 때 나타나게 되는 차이점과 사고와 감정에 따라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들간의 차이 판단의 차이점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입니다.
'직업 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수학원 후기 수능 재수생 (0) | 2020.02.16 |
---|---|
2020년 경찰 공무원 봉급표 연봉 (0) | 2020.02.13 |
제1회 롯데 호러 공모전 영상 영화 (0) | 2020.02.10 |
2020 교사봉급표 호봉표 (0) | 2020.02.10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급수 변화 개편 고급 중급 초급 심화 기본 2020년 5월 (0) | 2020.02.08 |